[앵커]하수구 맨홀 뚜껑에
페이지 정보

본문
[앵커]하수구 맨홀 뚜껑에 휠체어 바퀴가 걸린 채 옴짝달싹 못합니다.이렇게 매일 보이지 않는 벽에 부딪히는 장애인들, 만약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이라면 어떻게 될까요?오늘(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던진 질문입니다.현장 K 최혜림 기잡니다.[리포트]전쟁 등 비상사태 때 이용하게 될 '민방위 비상 대피시설'.행정안전부가 전국 만 7천여 곳을 정해 관리하고 있는데, 일부는 '이동 약자 이용 가능'이라고 따로 표기가 돼있습니다.실태가 어떤지 가봤습니다.비상대피시설로 지정된 아파트 지하 주차장입니다.이동 약자도 이용 가능하다지만, 경사가 심해 혼자서는 내려갈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주차장 입구엔 하수구가 있어 휠체어 바퀴가 걸리고...심한 경사 탓에 성인 남성이 끌어줘도 휠체어가 다니기엔 위태롭기만 합니다.["오오!"]대피 시설을 현장 점검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이용 가능 시설로 지정만 해둔 겁니다.다른 대피시설은 상황이 좀 나을까?역시 직접 찾아가 둘러봤지만, 휠체어 리프트나 유도 블록 등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비상대피시설 지정' 아파트 관계자/음성변조 : "리프트 같은 장애인 시설은 하나도 없어요."]우후죽순 늘어나는 초고층 건물도 점검해 봤습니다.50층 이상 건물은 중간지점에 '피난안전구역'을 마련해, 지상까지 한 번에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고영섭/롯데물산 소방방재팀장 : "비상용 승강기는 재해 약자들이 우선 대피할 때 쓰거나 마스크, 휴대용 비상조명 등이 구축돼 있어서 여기서 대기하실 수도 있고요."]그런데 다른 초고층 건물을 가봤더니 설계는 규정대로 돼 있지만, 정작 휠체어를 탄 사람은 접근이 어렵습니다.["한 손으로는 안 밀리네."][최규출/국가안전환경원장 : "이 피난안전구역은 장애인을 위한 안전구역으로는 평가하지 않습니다. 재난 약자를 위해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가장 위급한 순간, 목숨을 구해 줄 재난 대피시설이라면, 다른 시설 보다 더 장애인을 배려해야 하지 않을까요?KBS 뉴스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 하정현/영상편집:신남규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 창덕궁에 임시 봉안했던 조선 왕과 왕비의 신주 49위를 종묘 정전으로 다시 옮기는 환안제가 20일 열렸다. 이날 종묘 외대문을 통해 신주를 실은 가마가 들어서고 있다. 전민규 기자 하늘과 땅을 가르며 101m로 길게 늘어선 조선 목조 건축의 걸작. 국보 ‘종묘 정전’이 5년간 보수 공사를 마치고 20일 공개됐다. 그간 창덕궁 구(舊) 선원전에 모셨던 조선 왕과 왕비의 신주(죽은 사람의 위패) 49위도 종묘 신실로 되돌아왔다. 이날 위용을 드러낸 종묘 정전은 산뜻한 흰색을 되찾은 용마루(지붕 중앙 수평부분)와 함께 기와도 한결 가지런해진 모습이었다. 앞서 공장제와 수제 기와를 함께 쓰면서 하중이 맞지 않는 문제가 있어 이번엔 수제 기와 7만장으로 전면 재시공했다. 국가무형유산 제와장 김창대 보유자가 수년에 걸쳐 제작·납품했고 번와장 이근복 보유자가 각 기와를 이어 얹었다. 이 밖에도 월대 일부를 보수하는 등 노후화된 주요 부재를 정비·교체했다. 정전 앞에 깔려 있던 시멘트 모르타르는 수제 전돌로 대체했다. 색이 바래고 군데군데 훼손됐던 단청도 전통방식으로 새단장했다. 1989~1991년 이후 약 30년 만에 이뤄진 대공사엔 5년 간 총 200억원이 투입됐다. 공사 과정에서 약 300년 전 상량문(上樑文)도 발견됐다. 상량문은 목조 건물을 짓거나 고친 역사를 기록한 자료로서 일반적으로 건물의 최상부 부재인 종도리(마룻도리)를 올릴 때 함께 넣어둔다. 국가유산청은 2023년 4월 정전 11번째 방의 종도리 하부에서 상량문을 찾았다. 국가유산청 측은 “영조 대에 정전을 증축하면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1726년 공사 과정을 기록한 ‘종묘개수도감의궤’(宗廟改修都監儀軌)와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해체한 나무 부재의 연륜(나이테) 연대를 조사한 결과 광해군(재위 1608∼1623) 대의 목재가 사용된 점이 확인되는 등 중수도감의궤와 일치하는 연구 성과가 나왔다. 이날 오후엔 조선 태조 이성계(재위 1392∼1398) 등 신주 49위를 다시 정전으로 모시는 환안(還安) 의례가 거행됐다. 환안제가 열린 건 정전 및 영녕전 수리가 있었던 1870년(고종 7년) 이후 155년 만이다. 궁궐 밖 운반용 가마
상위노출 디시인사이드자동댓글 개포동부동산 네이버마케팅프로그램 구글상단작업 키워드한줄광고 네이버상단작업 마케팅프로그램판매 상위노출 네이버상단작업 웹사이트상위노출 마케팅프로그램 사이트상위노출 개포동부동산 쿠팡퀵플렉스 네이버상위노출 홈페이지상위노출 부산헌옷방문수거 다산동부동산 키워드한줄광고 사이트상위노출 마케팅프로그램판매 플레이스상위 네이버상위노출대행 상위노출 사이트 네이버마케팅프로그램 네이버상위노출대행 홈페이지상위노출 다산동부동산 네이버상위노출 디시인사이드자동댓글 부산헌옷방문수거 웹SEO 플레이스상위 상위노출 사이트 구글상단노출 웹SEO 구글상단작업 웹사이트상위노출 구글상단노출 마케팅프로그램
- 이전글텔레 : bpmc55 위고비부작용 위고비다이어트 25.04.21
- 다음글단 한 번 단 한 번뿐이었다며 주장하는 남편은 유 25.04.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